현재 2-2,3 역세권 시프트 재개발 진행 상황[25.04.24]


1. 재개발 정비사업 관련 제도 변경
- 서울시 자문위원회가 -> 서울시 정비계획 검토로 변경됨.
- 서울시는 2025년 2월 17일에 정비사업 심의 절차를 개선하여, 기존의 '사전자문위원회' 절차를 폐지하고 '정비계획 검토' 절차로 통합하였다. 기존 자문위원회가 수행하던 역할은 도시계획위원회 등 관련 기관에서 담당하게 되었다. (도린이네/2-2/소유자 님께서 알려 주셨습니다.)
- 용어에 대한 혼돈이 있을 수 있으니 서울시 정비계획 검토(구 12차 서울시 자문위원회)으로 표기함.
2. 녹번 2-2 기본정비 계획안 서울시 사전검토 입안
- 서울시 요청에 의한 기본정비 계획안 보완이 1차 마무리되어 구청과 자체 점검회의(3월13일) 진행함
- 지적사항이 있어 정비계획 보완 후 1-2회 더 자체회의 진행 함.
- 서울시 정비계획검토(구 12차 서울시 자문위원회)의 사전검토 입안(4월18일)
3. 녹번 2-3 역촌역세권(녹번동) 구역안이 변경 됨
- 역촌역세권 구역안 변경의로 동의서 재징구 중
- 녹번 2-2 불광역세권(녹번동)와 분리하여 향후 절차 진행
- 동의서 재징구로 인한 일정이 상당히 지체될 것으로 예상
- 일몰제(건축행위제한) 이전에 구역지정을 위해 조합원 적극 참여 필요
- 동의서 징구가 늦어 질 시 일몰제 이후 신축빌라 난림으로 재개발 무산 됨
4. 향후 예상 일정(2-2 기준, 2-3은 동의서 징구 일정 만큼 연기)
- 25년 전반기 : 구청자체회의(3월13일)-> 기본정비계획안 수정 완료 및 서울시 사전타당성 입안(4월18일) -> 서울시 정비계획검토(구 12차 서울시 자문위원회) 입안(5월 예상)
- 25년 후반기 : 서울시 정비계획검토(구 12차 서울시 자문위원회) 통과 -> 주민 설명회(추진위원회 설립 생략, 찬반 동의서 추징 예정)+주민 공람 -> 구의회 청취
- 25년 이후 : 서울시도시계획위원회심의(6개월) -> 건축행위제한 일몰제(5월) -> 구역지정고시(3개월, 26년 7~9월 예상) -> 공공지원 조합직접 설립(주민협의체 구성) 또는
추진위원회 설립(추진위원회 설립시 최소 2년에서 10년 개발 일정이 밀림. 최소 10억에서 20억까지 지원비 허공에 버림. 사실상 바보짓) -> 조합설립 -> 재개발 건축심의(통합으로 바뀌면서 2년 -> 6개월로 단축)
4. 구청 담당 주무관 : 권아름 주무관(1월 20일 보직)
